지금 인기있는 글
- 01.genuinely가 무슨 뜻인가요? really 혹은 seriously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나요?
Genuinely는 truthfully(진실되게), honestly(정직하게) 같은 뜻이에요. 또한 really처럼 강조를 주는 역할도 하는데요. 여기서는 어떤 것의 심각성과는 반대로 사실의 진실성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genuinely가 잘 들어맞죠. 예: I genuinely forgot about the meeting. (나 진짜로 회의 잊고 있었어.) = I honestly forgot about the meeting. 예: Genuinely, I've never seen a movie as good as this one before. (진심으로, 나 이렇게 좋은 영화는 처음 봐.) => 특히 강조
- 02.Irrational fear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는데요. 여기에서 irrational은 무슨 의미인가요?
"Irrational" 이라는 말은 "not rational(이성적이지 않은)" 이라는 뜻입니다. 다른 말로, 무언가가 "irrational" 하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혹은 이성적으로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irrational fear"는 논리적인 이유, 설명이 안되는 두려움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 A lot of people have an irrational fear of spiders despite the fact that most spiders can't hurt humans. (대부분의 거미들은 사람을 해치지 못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거미에 대해 비논리적인 두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 My mom is afraid that I won't eat enough when I move out, but I think she's being irrational. (제 엄마는 제가 나가 살면 제대로 먹지 않을 것이라고 걱정하시지만, 저는 그게 좀 비논리적이라고 생각해요.)
- 03."Mean it"이 무슨 뜻인가요? "for real, really"로 대신해서 사용할 수 있나요?
Did you mean it은 are you serious (진심이야?) 또는 are you telling the truth? (진실을 말하고 있는 거야?)하고 같은 뜻이에요. For real과 really (정말?)와는 뉘앙스가 조금 다르지만, 전달하는 의미는 동일합니다. 예: Then everything that you said before, did you mean it? (너가 여태까지 모두 말한 게 진심이었어? ) 예: I’m sorry, I didn’t mean it. (미안해, 진심이 아니었어.)
- 04.bay for blood는 무슨 뜻인가요?
Bay for blood는 어떤 사람이나 집단에 처벌을 요구한다는 의미입니다. 예: People are baying for blood for him on social media. (사람들은 SNS상에서 그에 대한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예: My classmates have been baying for blood ever since they found out I lied about something. (우리반 친구들은 내가 거짓말을 했다는 걸 알고 나서 내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예: I hope they don't bay for blood. (그들이 처벌을 요구하지 않길 바라.)
- 05.Gimbab이 뭔가요?
Gimbap (또는 kimbap)은 얇게 편 김, 밥, 채소, 그리고 때로는 고기나 해산물을 넣어서 만드는 한국식 요리입니다. 얇게 편 김 위에 따끈하게 조리된 밥을 올리고, 여러 가지 속재료를 안에 넣습니다. Gimbap은 주로 조각으로 잘라져 식사나 간식으로 섭취합니다. 보이는 모습으로는 일본의 스시와 비슷한 측면도 있지만, 느껴지는 맛은 꽤 다릅니다.
- 06.Star라는 단어의 기원이 어떻게 되나요? 왜 사람들은 유명인사를 두고 스타라고 부르죠?
Star는 라틴어 항성(celestial star)을 뜻하는 stella에서 왔다고 해요! 유명인들을 하늘의 별에 빗대어 스타라고 부르게 되었는데요. 공중에서 빛나는 별들을 보듯이 사람들은 유명인사를 바라보기 때문이죠. 예: She was like a star on the stage. (그녀는 무대에서 마치 스타 같았다.) 예: When I'm older, I want to be a star. (나이가 들면 별이 되고 싶어.)
- 07.once upon a time이란 말은 많이 들어봤는데, once upon a dream이란 말은 처음 들어봐요! 이게 무슨 의미죠?
Once upon a dream이란 표현은 once upon a time만큼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꿈이나 상상 속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다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일어난 일은 아니지만, 꿈속에서 일어났던 일이란 뜻인 거죠. 예: I met Selena Gomez once upon a dream. (꿈속에서 셀레나 고메즈를 만났어.) 예: I don't think I actually went to Europe. It was just once upon a dream. (난 사실 유럽에 가본 적이 없는 것 같아. 그냥 꿈이었지.)
- 08.Morgan Spurlock이라는 철학자에 대해서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사실 이 말은 일종의 농담이거나 비꼬는 표현으로 쓰인 거예요. Morgan Spurlock (모건 스펄록)은 철학자가 아니랍니다! 30일간 삼시 세끼를 맥도날드 메뉴만 먹으면서 변해가는 자신의 몸을 관찰하는 내용의 영화인 "Super Size Me"를 촬영한 영화감독이에요. 이 영화는 그의 신체적, 정신적인 웰빙에 대해서 담고 있어요. 그래서 이 강연자는 그의 인생에서 30일 동안 변화를 만들자는 얘기를, 모건 스펄록과 자신을 비교하면서 말하고 있는 거예요.
- 09.Cloak과 cape의 차이는 뭔가요?
A cloak은 땅에 닿다 못해 질질 끌릴 정도로 긴 덮개로, 대개 위에 머리를 덮기 위한 후드, 그리고 탈착을 쉽게 만들어주는 걸쇠가 달린 것이 특징이에요. 이러한 cloak은 보온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죠. 르네상스 시대나 중세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에서 자주 볼 수 있어요.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왕좌의 게임"이나 "반지의 제왕" 그리고 "스타워즈"예요. "반지의 제왕"에서는 나즈굴이, 그리고 "스타워즈"에서는 다스 시디어스가 cloak을 착용하는 것을 볼 수 있죠. 한편, a cape는 종아리 중간까지 오는 망토인데요, Cloak과의 차이점이라면 후드가 없다는 점이에요. 이것은 보통 DC 코믹스 계열에서는 슈퍼맨과 배트맨, 로빈과 배트걸 혹은 닥터 페이트 등이 해당하고, 반대로 마블 코믹스에서는 토르나 닥터 스트레인지, 미스테리오 등이 해당하죠. 예: Edna in The Incredibles told Mr. Incredible that she wouldn't make him a suit with a cape. (영화 인크레더블에 등장하는 에드나는 주인공인 미스터 인크레더블의 새 복장에는 망토를 착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예: Dr. Strange has a magic cape that helps him to fly. (닥터 스트레인지는 비행이 가능한 마법의 망토를 가지고 있다.) 예: His cloak kept him warm when he went outside. (외출할 때마다 망토는 그의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해줬다.) 예: Harry Potter's cloak is one of the Deathly Hallows. (해리 포터의 망토는 죽음의 성물 중 하나다.)
- 010.여기서 "heights"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항상 s를 붙여야 하나요?
네, 이런 종류의 문맥에서 "heights"는 항상 복수형으로 사용하셔야 합니다. 화자는 "heights"라는 단어로 하늘이나 높은 빌딩 위 같은 높은 곳에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완전한 표현으로 쓰면 "a fear of heights"가 됩니다. 예: I have a fear of heights. (나는 고소공포증이 있어.) 예: I'm not scared of heights. I've even gone bungee jumping and sky diving. (나는 높은 거 무섭지 않아. 번지점프와 스카이다이빙도 해본 적 있는 걸.)
전체 글 보기
Consign은 여기서 '영구적으로 맡기다', '배정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말씀하신 게 맞습니다! 여기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는 않아요. 물건이 영원히 옷장에 남겨져 사용되지 않을 거라고 하는 말이니까요. Consign의 다른 의미로는 '무언가를 누군가에게 건네주다', '보내다'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예: I consigned my birthday cards to the third drawer of my dressing table. (난 내 생일 카드를 내 화장대의 세번째 서랍에 넣어놨어.) 예: I'm consigning one of my artworks to the gallery in town. (난 내 예술 작품 중 하나를 시내에 있는 갤러리에 전달하려고 해.) 예: The package has been consigned to a courier. It'll arrive tomorrow! (택배가 택배사에 전달되었어요. 내일 도착할 거예요!)
아쉽게도 "after eight hours"라는 표현을 여기에 대신 쓸 수는 없어요. In eight hours는 "after eight hours from now (지금으로부터 8시간 후에)"라는 뜻으로, 어떤 임의의 시점으로부터 8시간 이후를 나타내는 "after eight hours"를 쓸 수는 없어요. 만약 "after eight hours"를 쓰고 싶다면, 문장을 "after eight hours of sleep, I feel refreshed"으로 바꿔야만 해요.
네, 이 경우에는 entirely를 all로 바꿀 수 있어요. All과 entirely 모두 부사로 의미가 비슷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엔 바꿔서 쓸 수 있어요. 그렇지만 entirely가 조금 더 포멀한 표현이고, 무엇인가가 완전하다는 것을 더 강조하는 뉘앙스이지만, all에는 그런 뉘앙스는 없어요. 예: I spilled the drink all on my shirt. (음료를 전부 셔츠 위에 엎질렀어.) 예: I spilled the drink entirely on my shirt. (음료를 셔츠 위에 전부 다 쏟아버렸어.) All은 뭔가가 complete(완전한), whole(전체) 라는 뜻이지만 뭔가 완전히 커버되고 있다는 뜻은 아니에요. All 은 온전하지 않은 것들을 과장하기 위해서도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완전한 것이나 전체적인 것을 표현할 때 all을 쓰는 건 그다지 강한 뉘앙스로 다가오지는 않아요.
"Scared to pieces"는 굉장히 겁에 질렸다는 뜻의 숙어입니다. 예: I was scared to pieces in the haunted house. (나는 귀신의 집에서 굉장히 무서웠어.) 예: She scared me to pieces yesterday. (그 여자는 어제 날 굉장히 놀랬어.)
Wiktionary에 있는 유사어 목록에 따르면, 가장 공식적인 단어는 absurdity입니다. nonsense에 대한 대체어로, 저라면 복수형을 사용해 absurdities라고 말할 거에요. *Wiktionary는 웹 기반의 다국어 위키 사전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