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인형이라고 안하고 "stuffed animal"이라고 하죠?

원어민의 답변
Rebecca
일반적으로, 영어 원어민들은 부드러운 재질로 채워진 장난감을 "stuffed animals"라고 하고, 사람 형상을 본떠서 만들어진 인형을 "doll"이라고 한답니다. "Stuffed animals"는 일반적인 표현이고 널리 사용하는 표현이에요.
Rebecca
일반적으로, 영어 원어민들은 부드러운 재질로 채워진 장난감을 "stuffed animals"라고 하고, 사람 형상을 본떠서 만들어진 인형을 "doll"이라고 한답니다. "Stuffed animals"는 일반적인 표현이고 널리 사용하는 표현이에요.
07/12
1
"fart"가 무슨 뜻이죠? 흔히 사용되는 단어인가요?
"fart"는 명사로써, 방귀를 의미합니다. 물론 "방귀를 뀐다" 라는 의미로써 동사로도 사용될 수 있어요. 이 단어자체가 무례하다거나 하지는 않지만, 굉장히 비격식적인 말이기에, 조금 격식적인 자리에서는 다르게 표현하죠. 대체로 사용할 수 있는 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 to break wind - to pass gas - to cut the cheese (미국식 구어체) - to toot (아이들이 주로 사용) 예: It smells really bad. Who farted? (냄새가 정말 안 좋아. 누가 방귀꼈어?) 예: Everybody farts, but not everybody likes to talk about farting. (누구나 방귀를 뀌지만, 모두가 방귀에 대해 얘기하는 걸 좋아하진 않아.)
2
the couple of days later 대신에 after the couple of days라고 써도 되는 건가요?
네, 물론입니다! 두 표현 모두 적합해요. 문장의 의미도 바뀌지 않을 테고요! 다른 글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거예요. 예: A couple of days later/after a couple of days, we decided to name our new kitten Roy. (며칠 후에 우리는 새끼 고양이에게 Roy라는 이름을 붙여 주기로 했다.) 예: We went to the beach a couple of days later/after a couple of days. (며칠 후 우리는 해변에 갔다.)
3
Analyze라는 단어는 무언가를 조사하거나 수사할 때만 사용할 수 있는 단어인가요? 좀 더 캐주얼한 상황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걸까요?
굳이 수사나 조사와 같은 상황이 아니더라도 analyze라는 단어는 충분히 쓸 수 있답니다. 하지만 analyze는 그 특성상 진지하고 포멀한 상황과 문맥에 사용한다는 점을 기억해주세요. 예를 들어서, 에세이를 쓰거나, "컴퓨터 데이터를 분석하거나(analyzing data on a computer)" 또는 "의료 진료(medical analyze)"와 같은 상황 말이죠. 예: I analyzed the text, but I couldn't find a good quote for my essay. (문서를 분석해 봤지만, 에세이에 인용할만한 문구는 찾을 수 없었다.) 예: The tech team came back with the data analysis for the new product. (기술팀은 신제품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가지고 복귀했다.) 예: To get to my conclusion, I analyzed the meaning of life.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 나는 삶의 의미에 대해서 분석을 해봤다.) 예: After a thorough medical analysis, we have determined that you will be better soon. (세심한 의료 분석 끝에, 우리는 당신이 곧 회복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4
여기서 재판장을 왜 Your Honor라고 부르나요?
법정에서 흔히 말하는 your honor는 재판장에 대한 존칭이에요. 재판장을 you라고 함부로 호칭할 수 없는 만큼 앞에 honor을 붙인거죠. 예: I have a question, your Honor. (존경하는 재판장님, 질문이 있습니다.) 예: Your Honor, I would like to present evidence relating to the case. (존경하는 재판장님, 본 사건과 관련된 증거품을 제출하고 싶습니다.)
5
지금까지 long live~라는 표현을 많이 들었는데요. 이건 무슨 뜻인가요?
Long live는 누군가 혹은 어떤 대상을 상대로 충성을 맹세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에요. 이 영상에서는 long live the king인데, 이는 왕에 대한 지지를 표함과 동시에 자신의 충성심도 보여주는 것이죠.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1994년에 개봉한 디즈니의 라이온킹인데요. 여기서 하이에나들이 자신들의 새로운 지도자로 스카를 추대할 때, 그리고 그 스카가 자신의 형인 무파사를 살해할 때 "왕이시여. 만수무강하소서 (Long live the king)"라는 표현을 썼죠. 본래는 영국에서 왕에 대한 충성의 표시로 사용됐지만, 오늘날에는 다양한 이들을 대상으로도 쓰인답니다. 다만 영국에서는 long live the king 이외에도 "신이시여, 왕/여왕을 보호해주소서(God save the King/Queen)"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데요. 이건 현재의 영국의 국가(國歌)이기도 해요. 예: Oh my god, I love chicken nuggets. Long live McDonalds! (오, 세상에. 나 치킨 너겟 너무 좋아. 맥도날드여 영원하여라!) 예: Long live the Queen! (여왕 폐하, 만수무강하소서!)
방금 그 표현, 퀴즈로 풀어보세요!
가장 중요한 것은, 웃지 마세요, 제 동물 인형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