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인기있는 글
- 01.과거 완료형은 어떻게 쓰나요?
현재 완료형은 과거에 일어났던 일이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칠 때 쓰는 표현이에요. 엘런은 BTS가 이전에 엘런 쇼에 왔을 때(과거)에 비해서 지금은 많이 바뀌었기 때문에, 자기소개를 다시 해달라고 하면서 현재 완료형을 사용하고 있어요. 단순 과거형은 과거에 발생한 일이 과거에 끝나서 지금은 영향을 미치지 않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랍니다. 예: Her English has improved since she started using RedKiwi. (레드키위 앱으로 영어 공부를 한 이후에 그녀의 영어 실력이 좋아졌다.) 예: She has been to Texas three times since last year. (그녀는 지난해 이후로 텍사스에 세 번이나 다녀왔다.)
- 02.Clumsy는 무슨 뜻인가요?
누군가를 향해서 clumsy라고 표현한다면, 이건 그 사람이 사고 등으로 인해서 거동이 이상하거나 어색한 것을 가리켜요. 그 이외에도 행동거지가 칠칠치 못하거나 어설픈 사람을 빗대서 사용할 수도 있죠. 예: Oh no, I dropped a plate. How clumsy of me! (이런, 접시를 떨어뜨리다니. 칠칠치 못하게시리.) 예: Karen can be so clumsy. She bumped into George earlier and knocked him over. (카렌은 칠칠치 못할 때가 있다. 그녀는 이전에 조지랑 부딪히면서 기어이 그를 넘어뜨렸거든.) 예: That was a very clumsy speech. The speaker was trying to be funny, but it wasn't funny. (참 어설픈 연설이었네. 분명 화자는 웃기려고 한 것일 텐데, 전혀 웃기지 않았으니 말이야.)
- 03.shall을 문장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모르겠는데, 언제 사용할 수 있는거죠?
여기에서 말하는 shall은 1인칭 미래형 표현인데요, 이는 will과 비슷한 것은 물론, 심지어는 상황에 따라서는 둘을 서로 바꿔서 사용할 수도 있답니다. 또한, 반드시 일어날 무언가를 가리킬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이외에도 무언가를 정중하게 요청하거나 제안할 때도 shall을 사용할 수 있답니다. 예: Shall we go? (갈까요?) => 정중하게 물어볼 때 예: We shall go to the party tonight. = We will go to the party tonight. (오늘 우린 파티에 갈 거야.) 예: You shall not leave this house. (넌 이 집에서 못 나간다.) => must not의 의미 예: If you're not here, I shall leave. (네가 안 오면 난 가야지.) => 이 상황에서는 must의 의미로 사용
- 04.Blame it on은 무슨 뜻인가요?
사람이나 물건에 대해서 blame it on하는 건 그 사람이나 물건에 책임이 있거나, 그 사람이나 물건이 어떤 상황이나 결과를 야기했다고 생각한다는 뜻이에요. 여기서 모니카는 이 표현을 통해 로스가 항상 "모니카가 이기는 이유는 스킬 때문이 아니라, 다른 이유가 있다."라고 말하고 다닌다고 얘기하고 있어요. 예: Don't blame it on your sister. This is your fault. (여동생 탓 하지마. 니 잘못이잖아.) 예: I blame it on the weather. (날씨 때문이야.)
- 05.into the production은 무슨 뜻인가요?
Production은 이 영상에서 쓰인 것처럼 공연, 연극, 오페라, 뮤지컬 같은 걸 말해요. 이 영상에서는 특히 태권도 시범을 말하고 있네요. Into (something)은 어떤 시간의 일부를 표현하는 아주 흔한 방법이에요. 이 경우에 코난은 이 전체 시범 중에서 첫 10분을 말하고 있어요. 이걸 다르게 표현하려면 after 10 minutes of the production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예: 20 minutes into the lecture and our professor still hadn't arrived. (수업 시작한지 20분 지났는데 교수님 아직도 안 오셨어.) 예: Only 1 hour into the journey I really needed to go to the bathroom. (여행을 시작한지 1시간 만에 나는 화장실에 가고 싶어졌다.)
- 06.child 앞에 부정관사 a가 생략되어 있는 건가요?
네, 맞아요! 여기 child 앞에는 관사 a가 생략되어 있답니다! 실제로 이렇게 말하는 건 흔하지 않지만, 아마 편집 문제로 잘린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예: He's literally a best friend to me. (그는 말 그대로 내 최고의 친구야.) 예: You're a child to me. (너는 나에게 아직 애야.) 예: She's a mother to me. (그녀는 내 어머니야.)
- 07.Gotta guess랑 그냥 guess랑 어떤 의미적인 차이가 있나요?
여기서 gotta나 got to는 "~ 해야 한다"는 뜻이에요. 즉, 여기서 I gotta guess라고 하는 건 "추측해야만 한다"라는 뜻이에요. 여기서는 단순히 guess라고만 말하기 보다는, 추측하는 게 가장 합리적인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선택지 중에서 추측해야 한다고 말하는 거예요. 예: I've got to guess it was the dog that ate our food. It's the only thing that makes sense! (우리 음식을 먹은 건 강아지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어. 그것밖에 말이 안 돼!)
- 08.Nominate는 무슨 뜻인가요? 무언가를 선언하거나 발표하는 것을 가리키는 걸까요?
누군가/무언가를 nominate 한다는 건, 그 대상을 선거나 시상식 등에 당선되거나 수상할 수 있도록 추천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예: I would like to nominate my math teacher for our school's "Best Teacher of the Year Award." ("올해의 최고 선생님 상" 후보로 우리 수학 선생님을 추천하고 싶다.) 예: The film won all of the Oscars it was nominated for. (그 영화는 후보로 선정된 모든 오스카상 분야에서 수상했다.)
- 09.어떤 걸 보통 "snacks"라고 부르죠? 끼니와는 다른거잖아요?
네, 그렇죠! snacks는 확실히 meal과는 다른 건데요! 보통 소량의 간식을 의미하죠. 예: I'm so hungry, I need a snack. I can't wait till dinner to eat! (나 진짜 배고파. 간식 좀 먹어야겠어. 저녁 먹을 때까지 기다릴 수 없다고!) 예: I got us some crisps for a snack. (간식으로 먹을 감자칩 좀 사 왔어.)
- 010.Bedding은 무슨 뜻인가요? 지푸라기를 가리키는 건가요?
여기에서 말하는 bedding은 잠자리를 만들기 위한 재료를 가리켜요. 즉, 이 영상에서는 햄스터를 가리키는 만큼, 지푸라기나 건초 혹은 파쇄된 종이 등을 가리킨답니다. 반대로 사람을 가리키는 거라면, 침대 커버나 이불을 의미하게 되겠지요. 예: I need to change the bedding in the hamster cage. (햄스터 우리에 있는 잠자리를 좀 바꿔 줘야 할 것 같네.) 예: I bought new bedding for my room. It's super fluffy and warm, so I love it. (난 새 침구류를 샀다. 엄청 푹신하고 따뜻해서 좋더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