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인기있는 글
- 01."long as"는 무슨 뜻이에요?
여기서 "long as"는 "during the time"(그 동안)이라는 뜻이에요.이 표현은 "During the time I can remember"라고도 쓸 수 있어요. 예: As long as I've known you, you've been a good friend. (내가 알게 된 이후로 쭉 너는 좋은 친구였어.)
- 02.Slather는 무슨 뜻인가요?
Slather는 다량의 어떤 물질(대개는 액체)을 바르거나 퍼뜨리는 것을 뜻하는 동사에요. 여기에서 화자는 모기가 인간의 피부에 침을 뿌리는 과정을 흥미롭게 전달하기 위해 이 표현을 사용했어요. 예: I slathered on a lot of sunscreen so that I don't burn under the sun. (햇볕으로 피부가 타지 않도록 나는 선크림을 잔뜩 발랐다.) 예: The baker slathered icing onto the cake. (제빵사는 케이크 위에 아이싱을 듬뿍 발랐다.)
- 03.크리스마스는 12월 25일인데 왜 "시즌(season)"이라고 표현하는 건가요?
Season은 일반적으로 어느 일정 기간 동안 이어지는 시기를 뜻하는 것이 사실이에요. 하지만 여러분은 "연휴(holiday season)"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영어권에서는 Christmas season이 이 연휴의 개념에 해당하는 거죠. 문화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이 시기는 서양에서는 중요한 시기로 분류가 되는 만큼, 시간이 지나면서 Christmas season이라는 표현이 자리를 잡게 된 거죠. 따라서 season은 단순히 일정 기간의 시기뿐만이 아니라 휴일을 가리킬 수도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할로윈이죠. 예: For many, they begin celebrating Halloween season in September. (많은 이들은 9월부터 할로윈 시즌을 기념하기 시작한다.) 예: It's Christmas season now, and many retailers have been preparing to receive an increase in customers. (크리스마스 시즌이 시작되면서 많은 소매상들은 대목을 준비하고 있다.)
- 04."climp"가 무슨 뜻이죠?
"Climp"는 은어예요. 영국 영어에서 남자를 비격식적으로 부를 때 사용하는 "chap"와 같다고도 할 수 있죠. 또 다른 의미로는 "fool"이 될 수 있습니다. 요즘 시대에는 은어로써, 좋아하는 사람을 위해 많은 걸 해주는 사람인 "simp"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어리석은 사람인 "clown"이란 뜻도 있는데, 이 상황에서는 가장 어울리는 뜻이죠. 예: Stop being such a climp and just ask her out already. (멍청이처럼 그만 굴고 어서 데이트 신청해.) 예: He knocked the chap out right there and then. (그는 거기서 바로 그 멍청이를 기절시켰어.)
- 05.이 문장이 무슨 뜻인가요? 그리고 nothing like은 언제 쓰는 표현인가요? 생략된 동사가 있는지도 궁금해요!
There's nothing like라는 표현은 어떤 것과 겨룰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는 뜻이에요. 아이스베어는 죽을 뻔한 일이 다른 어떤 상황보다 그를 배고프게 한다고 말하고 있어요. 물론 조금 비꼬는 말투로 말하고 있어요, 왜냐하면 조금 심각한 상황(죽음) 가운데에서 농담을 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예: There's nothing like a cup of coffee in the morning. (모닝커피 같이 좋은 건 없지.) 예: There's nothing like a jog go help my mood. (내 기분을 좋게 하는데 조깅만한 것은 없어.)
- 06.여기서 "decide"는 정확히 무슨 뜻인가요?
"Decide"는 결심을 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 등등 여러 가지를 말할 수 있어요. 이 영상에서는, 데이트 상대의 친구들이 화자가 데이트하고 있었음에도 그들의 옆에 '앉기로 했다'라는 뜻이 됩니다. 예: She decided to go to the park for lunch. (그녀는 점심을 먹기 위해 공원에 가기로 결심했다.) 예: I have to make a decision on what I want for lunch. (점심에 뭘 먹을지 결정을 해야만 한다.) 예: I don't want to decide! (정하기 싫어!) 예: I hate making decisions. (나는 선택하는 게 정말 싫어.)
- 07.여기 to 뒤에 무언가 생략된 건가요?
여기서 "to"는 앞의 "Don't wanna lie here" 부분에서 언급된 "lying (거짓말)"을 의미하고 있어요. 따라서 "to" 다음에는 아무것도 오지 않아도 괜찮아요. 뒷문장은 "But you can learn to lie (하지만 너는 거짓말 하는 걸 배울 수 있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 08."proxy"가 무슨 뜻이죠?
"proxy" 라는 건 무언가에 대한 대체원, 대역 혹은 대표할 수 있는 것을 뜻하는데요. 여기서는 레이첼이 우리를 대신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는 거예요. 우리의 대표가 되어서 우리로 하여금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 준다는 거죠. 예: During the Cold War, the US and Russia used other countries to engage in a proxy war. (냉전기간 동안 미국과 러시아는 다른 나라들로 하여금 대리 전쟁을 하도록 사용하였다.) 예: My brother will act as my proxy during my court case. (내 남동생은 재판기간 동안 나의 대리인으로 행동할 것이다.)
- 09.Recess는 보통 학교의 휴식시간을 가리키죠? 그런데 직장에서의 휴식시간을 포함한 다른 환경에서도 recess라는 단어를 쓸 수 있나요?
네, 맞습니다. 직장을 포함한 다른 환경에서 제공되는 휴식시간에도 recess라는 단어는 충분히 쓸 수 있어요! 예를 들어서, 회의 중간의 휴식시간을 가리킬 때도 사용할 수 있죠. 다만, break만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는 아니지만요. 예: Good job, team! Let's take a brief recess and come back to the board room in five minutes. (팀원 모두 잘했어! 5분간 쉬었다가 임원실로 가자고.) 예: After a month's recess, we went back to court. (1개월 간의 휴정이 끝나고, 우리는 다시 법정으로 향했다.)
- 010.drop과 fall 그리고 down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이러한 통계를 설명할 때는 이 세 개의 동사 모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예: Airbnb demand has dropped 70%. (Airbnb의 수요가 70% 하락했다.) 예: Airbnb demand has fallen by 70%. (Airbnb의 수요가 70% 하락했다.) 예: Airbnb demand has gone down by 70%. (Airbnb의 수요가 70% 하락했다.) 일반적으로 fall과 drop 둘 다 하락을 뜻하지만, drop이 대상이 관여하는 행동의 관련성이 강하지만(=000이 000을 떨어뜨린다), fall은 무언가 혹은 누군가의 행동이 아니라 저절로 벌어지는 행동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아요. 예: The man dropped the book. (남자는 책을 떨어뜨렸다.) 예: The tree fell down. (나무가 쓰러졌다.) 이 문맥에서는 down은 다소 부정적인 의미가 있는데요. 보통은 데이터나 통계 등의 추이를 설명할 때 쓰이고는 한답니다. 예: The stocks are down 2%. (주가가 2% 내려갔다.) 예: Economic activity has gone down by 7%. (경제활동 수치가 7포인트 하락했다.)
전체 글 보기
Turn back은 상황에 따라서는 단어 그대로 해석을 할 수도 있고, 또는 관용어로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원래의 장소로 되돌리거나 돌아가는 것을 뜻해요. 예: Don't turn back now on your dreams. You've come so far already. (이제 와서 꿈을 포기하지 말라고. 모처럼 여기까지 왔잖아.) 예: We need to turn back on the street we just came from. This is the wrong direction. (우리는 방금 왔던 길을 되돌아가야 해. 잘못된 방향이라고.)
Tariff는 import tax, 즉 수입세/관세에 대한 정식 명칭이에요. 수입세/관세는 어느 국가로 제품을 수출할 때 지불하는 세금을 가리켜요. 즉, tariff-free라는 것은 면세의 대상이 되는 상품들을 가리키는 거죠. 예: Importing personal items to my country is tariff-free. (개인 물품들을 반입하는 것은 면세 대상이다.) 예: Clothing produced in Mexico can be imported tariff-free to the United States. (멕시코에서 생산된 의류는 미국으로 수입될 때 면세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All hands on deck"은 원래 선원들에게 배에 승선해서 갑판으로 가라는 명령이에요. 그렇지만, 요즘에는 일상적인 대화에서도 꽤 자주 쓰이는데, 어떤 행동을 함에 있어서 모든 사람들이 참여를 하라는 뜻으로 쓰여요. 예: I will need all hands on deck to prepare for the party. (난 파티 준비를 위해 모두를 필요로 할 거야.) 예: The deadline is very close, so it's all hands on deck at the moment. (마감일이 굉장히 가깝기 때문에, 지금은 모두가 그 일에 매달리고 있어.)
여기서 shut out you라고 하면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 표현이에요. Shut out는 구동사이기때문에 조사 out이 목적어 뒤에 와야 합니다. 그래서 shut you out이 문법적으로 옳은 표현이에요. 이 문법 규칙은 이외에도 많은 구동사에 공통적으로 적용됩니다. 목적어가 있는경우, 구동사의 조사는 목적어 뒤에 옵니다. 단, 모든 구동사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고, 두 가지 방법 모두를 쓸 수 있는 구동사도 있어요. 여기엔 패턴이 없기 때문에 목적어가 조사 뒤에 올 수 있는 구동사들은 외우는 수밖에 없어요. 여기에서처럼 조사가 목적어 뒤에 오는 예문을 보여드릴게요. 예: I can't lift you up. (널 들어올릴 수가 없어.) 예: Take your coat off and stay awhile. (코트 벗고 잠시만 기다려 줘.) 예: I don't know how to turn the oven off. (오븐 어떻게 끄는지 모르겠어.)
Set aside는 일을 미뤄두거나, 어떠한 목적으로 인해 아껴둔다는 의미입니다. 예: I set aside my homework to do tomorrow. (나는 숙제를 내일 하려고 미뤄뒀어.) 예: He set aside the money he earned from his job for vacation. (그는 휴가를 위해 직장에서 벌어놓은 돈을 아껴두었다.) 이 대화에서는 set aside가 "save(모으다, 아끼다)"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이 예산을 팀 유니폼을 위해 set aside 한다는 것은 팀 유니폼을 사기 위해 예산을 아껴둔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