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enfranchised

[ˌdɪsɪnˈfræntʃaɪzd]

disenfranchised 뜻

  • 1투표권 박탈된 [종종 사회적 또는 경제적 지위 때문에 투표권 또는 기타 시민권을 박탈당합니다]
  • 2소외된 [집단이나 사회로부터 단절되거나 소외된 느낌]

disenfranchised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아래 예문들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disenfranchised"가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 알아보세요!

  • 예문

    The new law has disenfranchised thousands of voters.

    새로운 법은 수천 명의 유권자의 권리를 박탈했습니다.

  • 예문

    The poor and homeless are often disenfranchised from society.

    가난하고 노숙자들은 종종 사회에서 권리를 박탈당합니다.

  • 예문

    Many young people feel disenfranchised from the political process.

    많은 젊은이들이 정치 과정에서 권리를 박탈당했다고 느낍니다.

  • 예문

    The company's policies have left many employees feeling disenfranchised.

    회사의 정책으로 인해 많은 직원들이 권리를 박탈당했다고 느끼게 되었습니다.

disenfranchised의 유의어와 반의어

disenfranchised의 유의어

disenfranchised의 반의어

disenfranchised와(과) 관련된 관용어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disenfranchised communities

    종종 체계적인 차별이나 소외로 인해 권리와 기회를 박탈당한 사람들의 집단

    예문

    The organization works to empower disenfranchised communities through education and advocacy.

    이 조직은 교육과 옹호를 통해 권리를 박탈당한 지역 사회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노력합니다.

  • 종종 빈곤, 기회 부족 또는 차별로 인해 주류 사회에서 단절되거나 배제되었다고 느끼는 청소년

    예문

    The program aims to provide support and resources for disenfranchised youth in the community.

    이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에서 권리를 박탈당한 청소년을 위한 지원과 자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종종 저임금, 열악한 근무 조건 또는 혜택 부족으로 인해 직장에서 무력하거나 과소 평가되었다고 느끼는 직원

    예문

    The union advocates for the rights of disenfranchised workers and fights for better pay and working conditions.

    노조는 권리를 박탈당한 노동자의 권리를 옹호하고 더 나은 임금과 근로 조건을 위해 투쟁합니다.

disenfranchised 어원

고대 프랑스어 'desenfranchir'에서 유래한 것으로, '특권에서 벗어나다'를 의미합니다

📌

disenfranchised: 핵심 요약

disenfranchised [ˌdɪsɪnˈfræntʃaɪzd]이라는 용어는 종종 사회적 또는 경제적 지위로 인해 투표권 또는 기타 시민권을 박탈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그룹이나 사회에서 단절되거나 소외된 느낌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 법은 수천 명의 유권자를 박탈했습니다.', '많은 젊은이들이 정치 과정에서 권리를 박탈당했다고 느낍니다.' '권리를 박탈당한 커뮤니티'라는 문구는 권리와 기회를 박탈당한 사람들의 그룹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