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인기있는 글
- 01.왜 are가 아니라 is가 쓰였나요?
맞아요, a thousand reasons는 복수형이기 때문에 여기에선 they're가 쓰여야합니다.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이에요.
- 02.문장 앞의 "all"은 무슨 뜻인가요?
이 문장에서 "All"은 'the one thing'을 의미하고 있고, 그들이 해야만 하는 행동, 기차를 따라잡는 일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어요. 예: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내가 크리스마스에 원하는 단 한 가지는 너야.) 예: All I ask is for some respect. (내가 바라는 단 한 가지는 존중을 좀 해달라는 거야.)
- 03.이런 상황에서의 here we go는 무슨 뜻인가요? 그리고 왜 혼자인데 I가 아니라 we를 썼나요?
Here we go는 약간 긴장되는 일을 앞두고 쓸 수 있는 숙어입니다. 정해져 있는 숙어 표현이기 때문에 이 경우엔 here I go 라고 할 수 없어요. 예: I'm about to have a job interview. Here we go! (나 이제 면접있어. 자 간다!)
- 04.학교의 수가 복수니까, there are이라고 했어야하는 게 아닐까요?
물론이죠! 사실 이건, 영어권 원어민들도 흔하게 실수하는 문법적인 오류랍니다. 실제로 올바른 표현은 there are이나 there're이 맞고요. 하지만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there is나 there's를 자주 사용하는 것도 사실이에요. 다만, 여러분은 영어를 배우는 만큼, 실제로 회화를 할 때에는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잊지 말아주세요! 예: There's a bear in front of our car. (우리 차 앞에 곰이 있네.) => There is + 단수형 명사의 조합 예: There are bears in front of our car. (우리 차 앞에 곰들이 있네.) => There are + 복수형 명사의 조합
- 05.As a plan B는 무슨 뜻인가요? 그리고 B는 어떤 단어의 이니셜인가요?
Plan B는 원래의 계획이 실패했을 때를 대비한 보완 계획을 뜻해요. 그리고 B는 별다른 의미가 없어요. 단지 B는 알파벳에서 두 번째 단어고, 보완 계획 역시 두 번째 계획을 가리키는 만큼, 서로 이미지가 겹치기 때문에 사용하고 있는 거죠. 이런 관점에서 보면 Plan A는 원래대로의 계획을 가리킨다고 이해할 수 있겠죠? 왜냐하면, 이 경우에는 계획도 A도 첫 번째를 상징하니깐요! 예: A: Well, there's always Plan B. And if that fails, Plan C and D. (실패를 대비해서 항상 제2의 계획을 세워두고 있지. 그것이 실패하면 제3과 4의 계획도 있고.) B: How many plans do you have? (넌 도대체 계획을 몇 개나 가지고 있는 거야?) A: I'm covered all the way up to G. (만일을 대비해서 제7의 계획까지는 세워뒀지.) 예: Let's just go with Plan B. (제2의 계획으로 넘어가자.)
- 06."day off"랑 "vacation"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Day off"는 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 하루를 가리키며, 업무상에서 "vacation"은 5일 이상인 장기간의 휴일을 의미해요. 1~5일간의 쉬는 날을 말하려면 단순히 I have time off라고 말할 수 있답니다. 예: My day off is next Friday. (내 휴무는 다음 금요일이야.) 예: I'm on vacation for a week starting this Monday. (이번 주 월요일부터 일주일간 휴가를 갑니다.) 예: I have time off Tuesday through Thursday. (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쉬는 날이야.)
- 07.여기서 shape는 외형과 내면 모두를 포함하나요?
"Shape"는 그녀의 외모와 용모에 대해서 말하는 거예요. 에드 시런의 노래는 그가 바에서 만난 낯선 사람에게 강한 육체적인 끌림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장을 "I'm in love with your appearance."라고도 이해할 수 있어요.
- 08.drown someone out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Drown something/someone out은 어떤 소리를 뛰어 넘는 큰 소리로 다른 소리를 지워버리겠다는 뜻이에요. 이 문맥에서는 send a flood, 홍수를 일으켜서 다른 사람들의 비판이나 아픈 말들을 없애버리거나 덮어서 쓸어버리겠다는 뜻이에요. 예: The train drowned out the sound of his voice. (기차가 그의 목소리를 지워버렸다.) 예: I turned up the sound of the TV to drown out the sound of the lawnmower. (잔디깎기의 소리를 덮기 위해서 TV의 볼륨을 올렸다.)
- 09.왜 금지된 거죠? 아일랜드도 미국처럼 금주법이 있었나요?
오늘날에야 성 패트릭 데이에 술집에 모여서 술을 한 잔 들이켜는 것은 전국적으로 흔하게 볼 수 있지만, 정작 아일랜드에서는 1903년부터 1970년대까지 성 패트릭 데이 한정으로 술집에서 술을 판매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었어요. 왜냐하면, 술을 진탕 마시고는 사고를 치는 사례가 너무 많았거든요. 특히 1927년에 들어서면 아일랜드 정부가 앞장서서 금지를 선포하기도 했는데, 이는 1961년까지 이어지게 됐죠. 정작 북아일랜드 지방에는 해당하지 않았지만요. 즉, 성 패트릭 데이 한정으로만 금지를 한 만큼, 이건 금주법이 아니라 제한으로 봐도 무방해요.
- 010."No, I know"에서의 "No"는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 건가요?
Emilia Clarke는 왕좌의 게임 마지막 시즌의 마무리를 다시 쓰자는 대중의 제안을 이해했다는 의미로 no를 쓴 겁니다. 원어민이 아니면 no를 '아니다'라는 의미로만 알기 때문에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no가 i know하고 같이 쓰일 때는 이해했다는 식으로 사용합니다.
전체 글 보기
여기에서 말하는 come in은 어떠한 특정한 역할이나 기능을 맡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예: We'll need a lawyer, and that's when Jack comes in. (변호사가 필요한 우리에게 잭이 찾아왔다.) 예: You need to be able to write the exam well. That's where extra lessons come in. (시험을 잘 쳐야 할 거야. 안 그러면 추가 수업을 들을테니 말이야.)
세 단어 모두 '쓰레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는 같아요. 차이점은 각각의 단어가 쓰이는 지역이 다르다는 것인데요. Trash와 Garbage는 북미 영어로, rubbish는 영국 영어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단어를 더 많이 듣게 될지는 있는 지역에 따라 달라지겠지요. 예: Can you take the trash out? = Can you take the garbage out? = Can you take the rubbish out? (쓰레기 좀 버려 줄래?)
네, 짚어주신 부분이 맞습니다! From where은 from which와 where로 바꿔쓸 수 있어요. 바꿔 쓴다고 해도 문장의 의미는 바뀌지 않을 거고요! 예: Her headquarters, from which the teaching's organized, are in Seoul's business district. = Her headquarters, where the teaching's organized, are in Seoul's business district. (그 교육이 체계화되어 있는 그녀의 본사는 서울의 비즈니스 지구에 있다.)
Workout은 건강과 몸을 키우는 "운동"이라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 체육관에서 운동을 마친 후에 "workout을 했다"라고 말할 수 있어요. 이건 명사도 되고 동사로도 쓰입니다. 예: I had a great workout this morning at the gym. (오늘 아침에 체육관에서 열심히 운동했다.) 예: I try to workout for at least an hour every day. (매일 최소한 1시간은 운동하도록 한다.)
Ever는 "언제나, 항상, 언제든(부정문)"를 의미하는 부사예요. 동사랑 같이 접속사로서, 그 동사를 수정하거나 설명한답니다. 부정문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보통 그럴 때에는 never를 사용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에요. 예: I won't ever eat meat again, I'm turning vegan. (나는 다시는 고기를 먹지 않을거야, 나는 비건이 됐거든.) 예 I have not ever eaten fish in my life. -> I have never eaten fish in my life. (나는 한 번도 생선을 먹어본 적이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