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인기있는 글
- 01.그는 무슨 말을 하려고 했던 걸까요? 말을 끝내기도 전에 관객들은 웃고 있는데 저는 왜 웃는지 모르겠거든요.
이건 제 추측입니다만, 관객들은 I want it on the record라는 말에 웃고 있는 것 같아요. 그가 영상 초반에 했던 말과 똑같은 말을 하고 있기 때문이죠. 영상 내내 그가 말하는 것을 보아하니, 믿을 수 없는 무책임한 사람처럼 보이는데 그가 여기서 그 캐릭터에 딱 맞게 행동하고 있기 때문에 관객들이 웃은 것 같아요. 그가 말을 중간에 끝냈지만, 이야기의 흐름을 봤을 때 이어서 했을 법한 말은 아래와 같이 몇 가지 가능성이 있겠네요! 예: Okay, I want it on the record that he didn't necessarily flip her off. (네, 확실히 하고 싶은데, 반드시 선생님한테 가운데 손가락을 날렸다는 것은 아니죠.) 예: Okay, I want it on the record that he didn't necessarily know what flipping someone off meant. (네, 확실히 하고 싶은데, 가운데 손가락을 날리는 게 무슨 뜻인지 꼭 알고 있었던 건 아니죠.) 예: Okay, I want it on the record that he didn't necessarily mean to do that. (네, 확실히 하고 싶은데, 꼭 그럴 생각은 아니었죠.)
- 02."Crimson"이 뭐예요?
"The Crimson"은 하버드 대학에서 출간하는 신문 이름입니다. "Crimson"의 의미는 진홍색이며, 하버드 대학교의 색이기도 합니다.
- 03.Leaner, and tighter는 무슨 뜻인가요?
여기에서 말하는 leaner and tighter는 비즈니스 분야에서 비유적으로 쓰는 표현인데요, 이는 사업의 "건전성(healthy)"을 뜻합니다. 마찬가지로 leaner and tighter는 비즈니스 분야뿐만이 아니라 건강과 관련된 분야에서 누군가의 건강을 개선하고자 할 때도 쓸 수 있고요. 그러므로 어떤 프로세스에 대해서 leaner and tighter라고 하면, 이건 누군가의 건강을 포함해서 무언가가 더 건전해지고 개선되는 걸 뜻합니다. 예: The management changes seemed to make the store leaner and tighter. Healthier and better than it was before. (경영의 변화와 함께 그 가게는 개선됐다. 이전과 비교하면 더 건강해지고 좋아졌다.) 예: I'm doing a fitness challenge so I can become leaner and tighter. (나는 더 슬림하고 단단해진 몸을 만들고자 피트니스 챌린지를 하고 있다.)
- 04.living room과 drawing room이 무슨 차이가 있는 건가요?
Drawing room은 living room을 대체할 수 있어요. 둘 다 손님을 접대하고 쉬기 위한 방이죠. 다만, 오늘날 drawing room은 조금 오래된 용어라서 living room을 좀 더 흔하게 사용합니다. Drawing room은 16세기에 휴식용, 오락용으로 만들어진 방으로 처음에는 withdrawing room이라고 불렸다고 하네요. 예: I wish we still called "living rooms" "drawing rooms." It would make me feel like I'm in Bridgeton. (지금도 거실이 아니라 응접실이라고 부르면 좋겠다. 그러면 브리저튼에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들 텐데.) 예: Let's go to the living room and chill for a bit. (거실로 가서 좀 쉬자.)
- 05."festive"가 무슨 뜻이죠?
"Festive"는 형용사로써 보통 무언가를 축하하는 상황과 관련하여 사용되는데, "즐거운" "흥이 나는" "신나는"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 Your party was so festive, and your friends are great to hang out with! (네 파티는 정말 신났어, 그리고 네 친구들도 같이 놀기에 정말 좋았어!) 예: I love how festive Christmas is! Especially the songs and decorations. (크리스마스의 그 신나는 분위기가 난 너무 좋아! 특히 노래들이랑 장식들이.) 예: My summer holiday wasn't very festive. (나의 여름휴가는 그렇게 흥이 나지 않았다.)
- 06.Up close는 무슨 뜻인가요?
Up close는 어떤 걸 굉장히 가까운 범위 내에서 보거나, 상세한 것까지 볼 수 있을 만큼 가까이 당겨 보는 걸 말해요. 예: If you look through the binoculars you can see the birds up close. (쌍안경을 통해 보면 새들을 가깝게 볼 수 있다.) 예: As a zookeeper, she works with animals up close. (사육사로서 그녀는 동물들과 가까이에서 일을 한다.)
- 07.어떤 상황에서 is that how it's gonna be라는 표현을 쓸 수 있나요? 어떤 의미를 포함하고 있죠?
Is that how it's gonna be는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의 상대방의 행동과, 그 행동을 자신이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말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보통 긍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는 않고요. 그 행동에 대해서 만족스럽지 않거나 화가 난다는 것, 그리고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드러내 주죠. 여기서 아이스 베어는 형제들에게 Is that the action you want to take(이게 너희들이 하고 싶은 일이냐)라고 말하고 있는데요. 형제들이 아이스베어와 싸워서라도 그를 붙잡으려고 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예: A. Hey, what did you get for question 2? (야, 문제 2번 답이 뭐야?) B. Figure it out on your own. (네 스스로 찾아 봐.) A. Oh, is that how it's gonna be? (아, 그렇게 나오시겠다?) 예: A. I think we could use some extra help on the project. (이 프로젝트에 도움이 좀 필요할 것 같아.) B. Shouldn't you be able to do this alone by now? (지금쯤 혼자 할 수 있지 않아?) A. Oh, is that how you're gonna be? (오, 그렇게 나오시겠다?)
- 08."Over"는 영국에서 강조의 의미로 쓰이나요? 이 문장에서 "over"는 무엇을 의미하는 거죠?
장소를 말할 때, '그 장소가 화자에게서 떨어진 곳에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 "over"를 사용하는, 캐주얼한 표현입니다. "Over in/at"은 대체로 "in/at a place(어딘가에 있다)"의 의미를 지닙니다. 영상에서 Lady Gaga는 이 표현을 사용해 Bradley가 영국에 가 있고 부재중임을 말하고 있습니다. 예: My kids are over at my mom's house. (My kids are at my mom's house.) (아이들은 엄마 집에 가 있습니다.) 예: There is a sale going on over at the department store.(there is a sale going on at the department store.) (백화점에서 세일이 진행중에 있다.)
- 09.여기서 "hell" 이라고 한 게 무슨 뜻으로 말한 거죠?
"Hell"은 짜증이나 절망감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감탄사로 사용되는데요! 문장의 처음에 쓰이는 것이 보통입니다. 미국 영어에서는 단순히 무언가에 대한 강조를 더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 Hell, going bowling with you guys was the most fun I've ever had. (진심으로, 너희랑 볼링 친 게 인생에 가장 재미있던 거였어.) - 미국식, 강조의 용도로 사용 예: Hell, my boss is going to be angry with me for missing my deadline. (젠장, 마감을 못 지켰다고 상사가 엄청 화낼 거야.)
- 010.Going to pop은 잘 쓰는 표현인가요?
여기서 pop은 "burst (파열되다)", "explode (폭발하다)"와 같은 뜻을 가진 단어예요. Going to pop은 어떤 것이 터지거나 폭발하는 여러 상황에서 쓰일 수 있어요. Pop은 보통 공기압이 너무 높아서 터지는 걸 나타내요. 예: The balloons are going to pop if you put them on the glass! (유리 위에 풍선을 놓으면 터질 거야!) 예: My tire pressure is low, I'm worried that they're going to pop.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서 터질까봐 걱정이야.)